공학 개념 쉽게 이해하기 7

RISC와 CISC의 차이 – CPU 명령어 체계의 이해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CPU는 수많은 명령어를 처리하며 작동합니다.그런데 이 CPU를 설계할 때 가장 기본적인 철학이 두 가지로 나뉘는데, 바로 RISC와 CISC입니다. 이 두 구조는 이름은 생소하지만, 모든 CPU의 작동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개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RISC와 CISC가 무엇인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각각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RISC란?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는 말 그대로 **‘간단한 명령어 집합’**을 사용하는 CPU 설계 방식입니다.복잡한 명령어는 줄이고, 기본적이고 단순한 명령어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핵심 철학입니다. 특징:명령어 길이가 일정하고 간단함하나..

왜 GPU가 AI 연산에 더 유리할까? – 병렬 처리 구조로 보는 이유

인공지능(AI)이 발전하면서 ‘GPU’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많은 사람들이 GPU를 단순히 게임용 그래픽 카드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AI 연산에서 CPU보다 훨씬 더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GPU가 AI에 적합한 구조적 이유,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CPU와 GPU의 기본 차이항목CPUGPU구조몇 개의 고성능 코어수천 개의 저전력 코어특징직렬 연산(하나씩 빠르게)병렬 연산(여러 개 동시에)용도범용 연산, OS, 앱 실행대량 연산, 그래픽 처리, AI 모델 학습속도단일 작업에 강함반복 연산에 강함 요약하면, CPU는 ‘다양한 일을 순차적으로 빠르게’ 처리하고,GPU는 ‘같은 작업을 한꺼번에 많이’ 처리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SoC(System on Chip)란? – 스마트폰부터 자동차까지 핵심이 된 이유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자율주행차까지. 오늘날 다양한 전자기기의 중심에는 SoC라는 부품이 자리하고 있습니다.하지만 SoC가 정확히 무엇이고, 왜 이렇게 중요한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SoC의 정의부터 구성 요소, 장점, 그리고 실생활에서의 적용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SoC란 무엇인가? SoC(System on Chip)는 이름 그대로, 하나의 칩 안에 시스템 구성 요소들을 통합한 반도체입니다.기존에는 CPU, GPU, 메모리, 저장장치, 통신 칩 등을 각각 별도로 사용했지만, SoC는 이 모든 것을 하나의 칩에 담아냅니다. 즉, 작고 얇은 기기 안에서도 복잡한 연산과 기능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든 종합 처리 장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SoC의 주요 구성 요소 하..

DRAM과 SRAM의 차이 – 어떤 용도에 어떤 메모리가 쓰일까?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구성하는 메모리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두 가지는 DRAM과 SRAM입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구조와 성능, 용도는 크게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핵심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DRAM이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 커패시터 구조를 사용합니다.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방전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새로 고쳐(refresh) 줘야 합니다. 특징:구조가 단순해 집적도가 높음가격이 저렴하고 용량 확보가 쉬움지속적으로 리프레시가 필요해 속도는 느린 편주 용도: PC 메모리(RAM), 노트북, 서버, 모바일 기기 등 SR..

CPU와 GPU의 차이 –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

CPU와 GPU의 차이 –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 컴퓨터 부품 중 가장 많이 들리는 두 가지 이름,바로 CPU와 GPU다.많은 사람들이 대략적인 용도는 알지만,정확히 무엇이 어떻게 다르고, 어떤 상황에서 각각 쓰이는지는 헷갈리기 쉽다.이번 글에서는 CPU와 GPU의 핵심 차이점과 쓰임새를 정리한다. CPU란?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흔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두뇌라 불린다.역할은 간단하다:→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명령 처리, 계산 등 거의 모든 작업을 통제하고 조율한다. 일반적으로 **소수의 강력한 코어(core)**를 가지고 있음순차적이고 정밀한 연산에 강함대부분의 일상용 PC, 노트북, 서버에서 기본 탑재 GPU란? GPU(Graphics Processing..

NAND 플래시란? – 스마트폰과 SSD 속 저장 기술의 핵심

스마트폰, USB, SSD… 모두 어디에 데이터를 저장할까?바로 그 중심에 있는 기술이 NAND 플래시 메모리다.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삶 곳곳에 자리 잡은 이 저장 기술은 속도, 용량, 가격의 균형을 잡는 핵심 반도체로서 작동하고 있다.  💾 NAND 플래시란 무엇인가? NAND 플래시는 비휘발성(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메모리의 한 종류로,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저장하고 삭제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 논리회로 NAND 게이트에서 착안데이터를 ‘셀(cell)’ 단위로 저장셀을 여러 층으로 쌓아 고집적화 → 대용량 저장 가능  주요 특징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 유지빠른 읽기/쓰기 속도작은 크기 & 낮은 전력 소모 🧠 NAND 플래시 vs DRAM – 뭐가 다를까?항목NAND 플래시DRAM데..

SoC란? – 하나의 칩에 모든 걸 담는 기술

작고 얇은 스마트폰 안에 어떻게 그렇게 많은 기능이 들어갈 수 있을까?그 비밀은 바로 SoC(System on Chip), 하나의 칩에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기술에 있다. 요즘은 스마트폰은 물론, AI 가속기, 스마트워치, 자율주행차까지 거의 모든 스마트 기기에 SoC가 사용되고 있다.  🧠 SoC란 무엇인가? SoC는 말 그대로 **“시스템 전체를 하나의 칩 안에 담은 구조”**를 의미한다. 과거에는 CPU, GPU, 메모리 컨트롤러, 통신 모듈 등이 각각 따로 존재했지만, SoC는 이것들을 하나의 칩에 통합해 작고 효율적으로 만든 것이다.  📦 SoC 구성 예시 (모바일 기준) CPU: 연산 처리GPU: 그래픽 처리NPU: 인공지능 연산 가속 (요즘은 거의 필수)ISP: 카메라 이미지 처리모뎀/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