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얇은 스마트폰 안에 어떻게 그렇게 많은 기능이 들어갈 수 있을까?
그 비밀은 바로 SoC(System on Chip), 하나의 칩에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기술에 있다. 요즘은 스마트폰은 물론, AI 가속기, 스마트워치, 자율주행차까지 거의 모든 스마트 기기에 SoC가 사용되고 있다.
🧠 SoC란 무엇인가?
SoC는 말 그대로 **“시스템 전체를 하나의 칩 안에 담은 구조”**를 의미한다. 과거에는 CPU, GPU, 메모리 컨트롤러, 통신 모듈 등이 각각 따로 존재했지만, SoC는 이것들을 하나의 칩에 통합해 작고 효율적으로 만든 것이다.
📦 SoC 구성 예시 (모바일 기준)
- CPU: 연산 처리
- GPU: 그래픽 처리
- NPU: 인공지능 연산 가속 (요즘은 거의 필수)
- ISP: 카메라 이미지 처리
- 모뎀/통신칩: LTE, 5G 등 무선 통신
- DRAM 컨트롤러: 메모리 관리
🧩 SoC의 장점
- 크기 감소 – 작은 기기에서도 고성능 가능
- 전력 효율 – 데이터 이동 거리 최소화
- 속도 향상 – 부품 간 통신 속도 증가
- 생산 단가 절감 – 설계와 제조의 통합
이 덕분에 스마트폰, 웨어러블, 자율주행 시스템, IoT 센서 등에서 SoC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 SoC vs CPU – 뭐가 다를까?
- CPU는 SoC 안에 포함된 ‘두뇌’ 중 하나일 뿐이다.
- SoC는 CPU + GPU + 기타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더 큰 개념이다.
→ 즉, CPU는 부품, SoC는 전체 시스템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 SoC의 진화 – AI 시대엔 더 중요해진다
AI 기능이 일상화되면서, SoC에는 이제 NPU(Neural Processing Unit) 도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
- 애플 M 시리즈 칩
- 퀄컴 Snapdragon
- 삼성 엑시노스
- NVIDIA Orin (자율주행 SoC)
'공학 개념 쉽게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GPU가 AI 연산에 더 유리할까? – 병렬 처리 구조로 보는 이유 (0) | 2025.04.28 |
---|---|
SoC(System on Chip)란? – 스마트폰부터 자동차까지 핵심이 된 이유 (1) | 2025.04.27 |
DRAM과 SRAM의 차이 – 어떤 용도에 어떤 메모리가 쓰일까? (0) | 2025.04.25 |
CPU와 GPU의 차이 –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 (0) | 2025.04.20 |
NAND 플래시란? – 스마트폰과 SSD 속 저장 기술의 핵심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