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나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CPU는 수많은 명령어를 처리하며 작동합니다.
그런데 이 CPU를 설계할 때 가장 기본적인 철학이 두 가지로 나뉘는데, 바로 RISC와 CISC입니다.
이 두 구조는 이름은 생소하지만, 모든 CPU의 작동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ISC와 CISC가 무엇인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각각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RISC란?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는 말 그대로 **‘간단한 명령어 집합’**을 사용하는 CPU 설계 방식입니다.
복잡한 명령어는 줄이고, 기본적이고 단순한 명령어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핵심 철학입니다.
- 특징:
- 명령어 길이가 일정하고 간단함
- 하나의 명령어가 하나의 클럭 주기로 실행됨
- 하드웨어는 단순하지만, 소프트웨어(컴파일러)가 더 많은 역할을 맡음
- 빠르고 전력 효율이 좋음
CISC란?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는 **‘복잡한 명령어 집합’**을 사용하는 CPU 설계 방식입니다.
명령어 하나로도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어, 프로그래밍을 더 간단하게 해주는 구조입니다.
- 특징:
- 다양한 길이의 명령어를 사용
- 하나의 명령어로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음
- 하드웨어가 더 복잡하고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춤
- 코드 길이가 짧고, 컴파일러는 단순
RISC와 CISC의 핵심 차이
항목 | RISC | CISC |
명령어 수 | 적고 단순함 | 많고 복잡함 |
명령어 실행 속도 | 빠름 (1 클럭) | 상대적으로 느림 |
하드웨어 구조 | 단순 | 복잡 |
코드 길이 | 길어짐 | 짧아짐 |
컴파일러 역할 | 큼 | 작음 |
요약하자면,
RISC는 ‘간단하게, 자주 빠르게’ → 속도와 전력 효율에 유리
CISC는 ‘복잡한 걸 한 번에’ → 코드 간결성과 다기능 처리에 유리
어떤 CPU가 RISC고, 어떤 게 CISC일까?
- RISC 기반 예시:
- ARM 프로세서 (모바일 기기, 태블릿, IoT 기기 등)
- RISC-V (오픈소스 CPU 아키텍처로 최근 주목받는 기술)
- CISC 기반 예시:
- 인텔 x86, AMD 프로세서 (데스크탑, 노트북 등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CPU)
왜 이 차이가 중요할까?
오늘날에는 모바일과 데스크탑이 요구하는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 두 구조가 함께 존재합니다.
- 모바일 기기는 전력 효율과 발열 최소화가 중요 → RISC 기반 ARM 칩 사용
- 데스크탑이나 서버는 높은 연산 능력과 범용성이 중요 → CISC 기반 x86 사용
또한 최근에는 RISC 아키텍처의 효율성과 개방성(RISC-V 등) 덕분에 AI·자동차·웨어러블 기기 등에서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정리
- RISC는 간단하고 빠른 명령어 체계, 전력 효율과 속도에 강점
- CISC는 복잡한 명령어를 한번에 처리, 범용성과 코드 간결성에 유리
- 모바일은 RISC, PC는 CISC 기반이 주로 사용
- CPU 성능과 목적에 따라 이 두 구조는 서로 보완하며 공존 중
'공학 개념 쉽게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GPU가 AI 연산에 더 유리할까? – 병렬 처리 구조로 보는 이유 (0) | 2025.04.28 |
---|---|
SoC(System on Chip)란? – 스마트폰부터 자동차까지 핵심이 된 이유 (1) | 2025.04.27 |
DRAM과 SRAM의 차이 – 어떤 용도에 어떤 메모리가 쓰일까? (0) | 2025.04.25 |
CPU와 GPU의 차이 –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 (0) | 2025.04.20 |
NAND 플래시란? – 스마트폰과 SSD 속 저장 기술의 핵심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