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기술 분석

RISC-V란? – 오픈소스 CPU 아키텍처가 주목받는 이유

분석하는 지오 2025. 4. 16. 07:00

RISC-V 로고가 박힌 CPU 칩이 중앙에 배치되고, 양옆에 ARM과 x86이 비교되듯 배치된 이미지. “RISC-V란? 오픈소스 CPU 아키텍처가 주목받는 이유”라는 문구 포함.


 

CPU 설계도도 오픈소스가 가능할까?

소프트웨어 세계에서 오픈소스는 익숙한 개념이지만, 하드웨어 특히 CPU 아키텍처도 오픈소스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할 수 있다. 그 중심에 있는 기술이 바로 RISC-V(리스크-파이브) 이다.

 

 

🧠 RISC-V란 무엇인가?

 

RISC-V는 **오픈소스로 공개된 CPU 명령어 집합 구조(ISA: Instruction Set Architecture)**다.

여기서 말하는 ISA는, 하드웨어가 소프트웨어와 소통하기 위한 언어이자, CPU 설계의 기반이 되는 설계 규칙이다.

 

  •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구조 기반
  • 기존 상용 ISA (예: ARM, x86)와 달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수정 가능
  • 캘리포니아 대 버클리에서 2010년 개발 시작,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

 

 

🧩 왜 RISC-V가 주목받을까?

 

  1. 라이선스 비용 0원 – ARM은 사용에 비용이 발생하지만 RISC-V는 무료
  2. 설계 자유도 – 필요한 명령어만 골라서 경량화된 칩 제작 가능
  3. AI·IoT 맞춤화 – 소형화, 저전력 설계에 유리
  4. 생태계 확장 – NVIDIA, 인텔, 삼성, 구글 등 주요 기업들도 RISC-V 연구/참여 중

 

📌 예: 구글은 웨어OS(스마트워치 OS)의 미래 플랫폼으로 RISC-V를 고려 중

 

 

🏁 RISC-V vs ARM vs x86 – 무엇이 다를까?

항목 RISC-V ARM x86(Intel/AMD)
구조 RISC RISC CISC
오픈소스
라이선스 비용 무료 유료 유료
유연성 높음 제한적 낮음
시장 점유율 성장 중 모바일 중심 PC/서버 중심

RISC-V, ARM, x86 세 가지 CPU 아키텍처가 구조, 라이선스, 오픈소스 가능 여부, 사용처 기준으로 나란히 비교된 이미지.

⚙️ 어디에 사용되고 있을까?

 

  •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 엣지 AI 칩 (로봇, 드론 등)
  • 자율주행 시스템의 보조 연산 유닛
  • 연구용 보드 (예: SiFive 개발 키트)